유명한 포트폴리오를 참고해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로 자산배분 투자를 꾸준히 해준다면 크진 않더라도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내 자산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자산들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이를 활용하여 자산배분을 하면 시장의 급격한 변동에 대응하기 쉽다는 것을 지난 포스팅을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구체적으로 자산배분을 어떻게 하는지,, 대표적인 포트폴리오 예시를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목차
- 포트폴리오의 종류
- 리밸런싱
1. 포트폴리오의 종류
가. 영구 포트폴리오
주식(25%), 채권(25%), 금(25%), 현금(25%)입니다.
안전자산인 채권, 금, 현금의 비중이 높으며 각 자산의 비율이 전부 동일하기 때문에 기억하기도 쉽고 운용하기 간단한 포트폴리오입니다.
나. 올웨더(All Weather) 포트폴리오
미국의 유명한 헤지펀드 매니저인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의 경제적 순환에 따라 자산의 변동성이 다름을 말씀드렸습니다.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말 그대로 사계절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라는 뜻으로, 시장에서 일어날 모든 경제적인 상황에 대비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레이달리오가 최초로 제시한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식(30%), 채권(55%), 금(7.5%), 원자재(7.5%)입니다. 채권 중 40%는 장기채이며, 15%는 중기채입니다.
기본적인 주식과 채권 포트폴리오에 인플레이션을 대비하여 금과 원자재를 포함해 준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 박곰희 포트폴리오
전 미래에셋 PB이자 현 50만 구독자를 보유한 ‘박곰희 tv’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인 박곰희님의 책 「박곰희 투자법」에 나오는 투자 포트폴리오입니다.
안전자산 60% (금 20%, 달러 10%, 채권 30%), 배당자산 15% (배당주 10%, 리츠 5%),
투자자산 20% (국내주식 10%, 해외주식 10%) , 현금 5%입니다.
앞선 두 개의 포트폴리오에서 우리나라의 시장 상황을 고려해 자산을 좀 더 세분화한 포트폴리오입니다. 저는 개인투자를 이 포트폴리오를 변형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위처럼 포트폴리오의 예시로 3가지를 보여드렸습니다. 어떠한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던지 본인의 성향에 맞게 비율을 재조절해서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리밸런싱이란? (Rebalancing)
포트폴리오를 정했다면 그 비율에 맞춰 일정 기간마다 자산을 구매해줘야 합니다. 하지만 자산의 가격은 항상 변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리밸런싱’이라는 과정을 거쳐줘야 하는데, 이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자산배분 투자법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리밸런싱 : 운용하는 자산의 비중을 재조정해주는 일 (사전적 의미)
예를 들어, 주식과 채권을 5대 5로 하는 가격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1년에 백만 원씩 2년간 투자한다고 가정했을 때,
주식이 첫 해는 +10% 두 번째 해는 -10% 수익이,
채권은 두 해 모두 +4%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리밸런싱을 하지 않았을 경우,
1년 후, 주식 550,000원 채권 520,000원
2년 후, 주식 495,000원 채권 540,800원 = 총 1,035,800원입니다.
만약 1년 후, 주식 550,000원 채권 520,000원에서 리밸런싱을 하면
주식 535,000원, 채권 535,000원이 되며, (5대 5의 비율로 주식을 팔고 채권을 삼)
2년 후, 주식 481,500원, 채권 556,400원 = 총 1,037,900원입니다.
리밸런싱 결과, 2,100원의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위 예시에서는 추가 수익이 그렇게 커 보이지는 않지만, 금액이 커지고 변동성이 클수록 더 큰 차이를 보입니다. 리밸런싱의 가장 큰 효과는 고점에서 매도하고, 저점에서 매수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리밸런싱은 너무 자주 하는 것보다, 일반적으로는 1~2년에 주기로 한 번씩 해주는 것이 시장의 변동을 반영해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이것도 본인이 정하기 나름입니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자산배분 투자기법은 가파르게 급상승하는 시기에는 다른 투자자들에 비해 수익이 적을 수도 있기 때문에, 수익률보다는 안정성이 더 중요한 분들에게 추천드리는 투자 기법입니다.
수많은 유혹 속에서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고수하며 투자를 해나갈 수 있는 분들이라면 분명히 크진 않지만 꾸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좋은 투자 기법이라고 생각됩니다.
'곰브의 재테크 > 투자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의 기본, 채권이란 무엇인가? (2) | 2023.03.31 |
---|---|
투자 입문용 도서 3권 추천 (0) | 2023.03.30 |
투자의 기초, 자산배분이란? (자산배분의 의미, 자산의 상관관계) (0) | 2023.03.28 |
자본주의 이해하기 -2 (양적완화,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0) | 2023.03.27 |
자본주의 이해하기 -1 (돈의 흐름, 물가상승과 통화량, 지급준비율, 뱅크런) (0)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