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형 소장펀드 계좌를 개설하면 간접투자를 주로 하는 청년들은 많은 절세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ISA계좌와 마찬가지로 투자를 하면서 받을 수 있는 절세 혜택은 전부 받는 것이 최종 수익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목차
- 청년형 소장펀드란?
- 청년형 소장펀드의 혜택 및 가입대상자
- 청년형 소장펀드 가입 전 유의사항
1. 청년형 소장펀드란?
청년형 소장펀드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줄임말입니다. 이름 그대로 청년층이 가입할 수 있는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장기 펀드 상품을 뜻합니다. 직접투자가 아닌 간접투자를 선호하여 펀드 투자를 하는 청년들에 적합한 상품입니다.
2023년 12월 31일까지만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래 혜택을 읽고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빨리 신청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 청년형 소장펀드의 혜택 및 가입 대상자
청년형 소장펀드의 혜택은 간단합니다. 자신이 납입한 금액에서 총 40%의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납입한도는 연 600만 원이며, 최소 3년부터 최대 5년까지 납입이 가능합니다. 즉 최대로 5년간 600만 원씩 3천만 원을 납입했을 때, 40%인 1,200만 원, 매년 240만 원의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대상은 총 근로소득 5,000만 원 이하 혹은 종합소득금액이 3,800만 원 이하이면서 만 19세~34세인 청년입니다. 직전 3개년도 중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던 경우에는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3. 청년형 소장펀드 가입 전 유의사항
청년형 소장펀드 가입 후 최대로 납입했을 때, 매년 240만 원의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근로소득 5,000만 원 이하의 청년들이 가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금액의 혜택이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연소득이 1,400만 원 ~ 5,000만 원에 해당하여 과세표준 16.5%를 적용한다고 하면 연 240만 원*16.5%로 39만 6천 원의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5년으로 치면 약 198만 원 정도이기 때문에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납입금액에 대비하여 그렇게 크게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큰 이익을 얻으려고 하기보다는 내가 청년이면서 펀드 투자를 한다 하면 굳이 일반 계좌를 이용하기보다는 청년형 소장펀드에 가입하여 부수적으로 이익(소득공제)을 얻는다는 생각으로 가입하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ISA계좌와 같이 최소 3년 이상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목돈 마련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청년형 소장펀드는 3년을 유지하지 않고 그전에 해지하거나 양도 혹은 인출을 하면, 6.6%의 세금이 추가로 부여되기 때문에 ISA계좌처럼 3년간 빼지 않을 수 있는 돈으로만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또한 펀드에 투자하는 것인 만큼 당연히 원금을 보장할 수 없다는 리스크는 안고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4. 청년형 소장펀드와 ISA계좌의 절세 비교
목돈마련 계좌로 청년형 소장펀드와 ISA계좌 중 선택해야 한다면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ISA계좌는 투자하여 얻은 이자나 수익에 대해 200만 원까지 비과세혜택을 주는 계좌이고, 청년형 소장펀드는 투자 수익에 관계없이 납입금액에 대해 40%를 소득공제해 주는 것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습니다. 앞서 설명했듯이 청년형 소장펀드는 5년간 최대 혜택을 받는다고 했을 때, 약 198만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ISA계좌와 유사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소득구간에 따라 금액은 달라질 수 있으며, ISA계좌는 3년에 200만 원 혜택을 얻을 수 있다는 차이는 있습니다.)
투자가 성공적이지 않아서 수익이 거의 없다면 오히려 투자 수익과 관계없는 청년형 소장펀드가 유리할 수는 있겠습니다. 하지만 사실 두 상품은 안에 담을 수 있는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세제금액만 보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닌 것 같습니다.
투자 성향이나 상황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되는데, 본인이 직접 주식 등에 투자를 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겐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ISA계좌가 더 적합해 보입니다. 하지만 직접투자보다는 간접투자인 펀드 상품을 주로 선호하는 청년 투자자들이라면 청년형 소장펀드에 가입해서 소득공제 혜택을 얻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둘 다 사용하는 것으로, ISA계좌는 1인당 1개밖에 개설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여유가 있다면 펀드는 청년형 소장펀드에서 구매하고, 주식 등은 ISA계좌를 통해 거래하면서 목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올해 말까지 가입가능한 청년형 소장펀드는 각 증권사를 통해 찾아보실 수 있으며, 현재 신규고객 유치를 위해서 증권사마다 다양한 이벤트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가입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증권사를 잘 살펴보시어 좋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증권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곰브의 재테크 > 투자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FD란? (CFD뜻, TRS, SG증권발 대규모 하한가 사태) (3) | 2023.05.08 |
---|---|
KRX금현물 투자, 금 투자 방법 알아보기 (0) | 2023.04.21 |
ISA계좌의 종류와 기타 유형 혜택(중개형,신탁형,일임형,서민형/농어촌형) (0) | 2023.04.19 |
ISA계좌란 무엇인가? (ISA계좌의 세제 혜택 및 유의 사항) (0) | 2023.04.16 |
ETF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세가지 (순자산가치NAV, 괴리율, 추적오차) (0) | 2023.04.15 |